blues_log
2023-04-28 (feat. 생활코딩 Java 1회 완강!)
TIL&WIL 2023. 4. 28. 20:50

오늘 배운 내용 Java : 참조, 제네릭(Generic), Collections Farmework 새로 알게된 내용 참조와 복제 우선, 다음의 구문의 차이점을 생각해보자. int a = 1; A a = new A(1); 전자는 데이터형이 int이고, 후자의 데이터형은 A이다. int는 기본 데이터형, A는 기본 데이터형이 아니므로 참조 데이터형이다. 기본형과 참조형의 차이는 다음에서 확인 ! 여기서 차이가 발생하는데, 기본데이터형에서는 복제가 되고, 참조 데이터형에서는 참조가 된다. 다음을 확인하자. 1) 복제란? 2) 참조(reference)란? 참조는 복제와는 다르게 값을 그대로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같은 인스턴스를 공유하는 것이다. 복제와는 다르게 참조에서는 같은 인스턴스를 공유하므로 당연히 차..

2023-04-27 TIL (Java : Object, enum)
TIL&WIL 2023. 4. 27. 20:28

오늘 배운 내용 Java : Object, enum 새로 알게된 내용 Object Object는 모든 클래스의 조상이다. 즉, 자바에서 모든 클래스들은 사실 Object를 암시적으로 상속받고 있다. 이는 모든 클래스가 공통으로 포함하고 있어야 하는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서이다.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밑의 두 코드를 보면 둘은 정확하게 같은 의미를 갖는다. class A{} class A extends Object {} Object의 주요 메소드들 우선 Object의 메소드는 클래스 내에서 재정의(오버라이딩)을 하여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다 !! 1) toString() 메소드 해당 인스턴스에 대한 정보를 문자로 반환하는 메소드 반환되는 문자열은 클래스 이름과 함께 구분자로 '@'가 사용되며, 그 뒤로 1..

article thumbnail
2023-04-26 TIL (Java : 예외)
TIL&WIL 2023. 4. 26. 17:55

오늘 배운 내용 Java : 예외 새로 알게된 내용 예외(Exception)의 문법 예외는 프로그램을 만든 프로그래머가 상정한 정상적인 처리에서 벗어나는 경우에 이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이다. try...catch는 예외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문법적인 요소이고, 형식은 다음과 같다. 더보기 try { 예외의 발생이 예상되는 로직 } catch (예외클래스 인스턴스) { 예외가 발생했을 때 실행되는 로직 } try 안에는 예외 상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로직을 위치시킨다. catch 안에는 예외가 발생했을 때 뒷수습을 하기 위한 로직이 위치한다. 프래그램이 실행될 때, try 부분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순간 실행이 멈추고 catch에 있는 로직이 실행된다. 뒷수습의 방법 뒷수습을 하는 인스턴스 메소..

2023-04-25 TIL (Java : 인터페이스, 다형성)
TIL&WIL 2023. 4. 25. 21:08

오늘 배운 내용 Java : 인터페이스, 다형성 새로 알게된 내용 1.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는 추상과 final과 비슷하게 규제를 한다. 어떤 객체가 있고 그 객체가 특정한 인터페이스를 사용 → 그 객체는 반드시 인터페이스의 메소드들을 구현해야 함 만약, 인터페이스가 강제하는 메소드를 구현하지 않으면 에플리케이션은 컴파일도 안된다. 인터 페이스의 예 interface I{ public void z(); } class A implements I { //A는 I라는 인터페이스를 구현한다. public void z() {} //빈로직이어도 메소드를 반드시 구현해야한다!! } 하나의 클래스가 여러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interface I1{ public void x(); } interface I2{ ..

2023-04-24 TIL (Java : 추상, final)
TIL&WIL 2023. 4. 24. 21:51

오늘 배운 내용 Java : API, UI, 접근 제어자, 추상(abstract), final 새로 알게된 내용 1.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UI(user interface) API란 두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가 서로 통신할 수 있게하는 메커니즘이다. UI란 사용자와 소프트웨어 사이의 접점(입력장치, 출력장치)를 말한다. System과 같이 자바에서 제공하는 명령어를 잘 활용해야한다. 2. 접근 제어자 접근 제어자는 클래스의 멤버(변수, 메소드)들의 접근 권한을 지정한다. public은 어느 곳에서든 호출이 가능하다. private는 속하지 않은 클래스에서는 호출할 수 없다. 즉, private를 활용하면 다른 클래스 내에서 선언을 할 때 재선언을 하는 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