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ues_log
2023-05 3주차 WIL
TIL&WIL 2023. 5. 19. 20:57

주요 학습 내용 내일배움캠프 : 미니프로젝트 Java : 전반적인 내용 복습, 프로그래머스 문제풀이 미니프로젝트 소감 나는 비전공자이고, 사범대(수학교육과)를 나와서 이런 프로젝트 뿐만 아니라 유사한 경험기회가 없었다. 그래서 프로젝트라는 것이 전반적으로 어떻게 진행되고, 어떤 방식으로 역할을 나누고, 어떤 방식으로 회의를 진행하는 지 알지 못했다. 이번 미니프로젝트로 이런 것들에 대한 궁금증을 조금이나마 해소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던 것 같다. 우선, 조장님께서 전공자 출신이시기도 했고, 여러 부분에서 경험이 많으셔서 리더십을 많이 발휘해주셨고, 많이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다른 조원 분들도 자신이 모르는 부분이 있거나 도움이 필요한 부분이 있으면 부끄러워하지 않고 해결하기 위해서 질문하고 노력..

2023-05-19 TIL (Java : Replace, ReplaceAll, ReplaceFirst)
TIL&WIL 2023. 5. 19. 20:45

오늘 학습한 내용 Java : replace 메소드, 프로그래머스 문제풀이 내일배움캠프 : 미니 프로젝트 마무리 및 발표 (WIL에 정리) 새로 알게된 내용 Replace 메소드 String이나 배열같은 곳에서 데이터를 수정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했을 때, 그것을 하나하나 수정하기는 매우 번거롭고 실수를 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런 경우에 쓰일 수 있는 메소드가 바로 Replace이다. Replace String replace(CharSequence target, CharSequence replacement) replace(기존 문자열, 바꾸고 싶은 문자열) Replace 메소드는 자신이 바꾸고 싶은 문자열을 찾아서 바꾸고 싶은 문자열로 바꾸어주는 메소드이다. ReplaceAll String replace..

2023-05-18 TIL
TIL&WIL 2023. 5. 18. 20:53

오늘 학습한 내용 Java : 인터페이스 복습, contains 메소드, split 메소드 SQL : 데이터를 조회하는 sql 기본 문법들 복습 내일배움캠프 : 미니프로젝트 완성 내용 복습한 sql 정리 mysql로 실습 실습데이터는 다음 youtube 강의를 참고하면 다운 받을 수 있다. 참고 : YOUTUBE 부부개발단 https://www.youtube.com/@funnyjava -- employees 필드의 정보 확인하기 desc employees; -- employees 테이블 전체 내용 보기 select * from employees; -- 별명 붙이기 as select first_name as fn, last_name as ln, salary as s from employees; -- 필드 ..

2023-05-17 TIL (프로그래머스 문제풀이)
TIL&WIL 2023. 5. 17. 20:57

오늘 학습한 내용 Java : 반복문과 배열 내용 복습, 프로그래머스 문제 풀이 내용 프로그래머스 문제 (해결되지 않은 문제) 문제는 배열 만들기 2이다. 코드를 실행하면 테스트 코드들은 문제 없이 실행되지만.. 테스트 1 〉통과 (7.53ms, 80.7MB) 테스트 2 〉통과 (6.90ms, 75.3MB) 테스트 3 〉통과 (50.01ms, 84.2MB) 테스트 4 〉통과 (47.62ms, 90.5MB) 테스트 5 〉통과 (32.84ms, 80.9MB) 테스트 6 〉통과 (19.33ms, 79.8MB) 테스트 7 〉통과 (1058.34ms, 83.7MB) 테스트 8 〉통과 (1612.52ms, 97.1MB) 테스트 9 〉통과 (3273.91ms, 104MB) 테스트 10 〉실패 (시간 초과) 테스트 1..

2023-05-16 TIL (Java : 향상된 for문)
TIL&WIL 2023. 5. 16. 21:00

오늘 배운 내용 Java : 자바의 for문에서 콜론(:)이 나왔을 때 새로 알게된 내용 for문에서의 콜론(:)이 나왔을 때 자바에서 for문의 기본 구조는 다음과 같다. for("초기화";"조건식";"증감식") { "조건식이 true이면 실행되는 로직" } 하지만 다른 소스코드들을 보면 자주 다음과 같은 구조가 나온다. for(Object obj : obj2) {} for(A : B) {} 여기서의 뜻은 B에서 차례대로 객체를 꺼내서 A에 넣는다는 의미이다. B에서 더이상 꺼낼 객체가 없다면 반복문은 실행이 종료된다. 다음 예제를 보자. class Solu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queries = {{0,3},{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