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키지란? 패키지는 비슷한 성격의 클래스들을 모아 놓은 디렉토리이다. 즉 클래스들의 묶음으로 이해하면 된다. 패키지의 선언은 ' package 패키지이름; '으로 할 수 있다. package blues; public class doob{ } 위의 내용은 'blues'라는 패키지안에 'doob'이라는 클래스를 만든 것이다. 서브패키지란 ? 서브패키지란 말 그대로 패키지 안에 하위 패키지를 만드는 것이다. 하위 패키지는 도트(.)를 이용하여 표시한다. 다음의 코드에서 나오는 blues.red는 blues패키지의 서브 패키지이다. package blues.red; public class sup { } 패키지를 사용하는 이유는? 패키지를 사용하면 비슷한 성격의 클래스들끼리 묶을 수 있어 클래스의 분류가 용이하다..

연산자는 특정한 작업을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기호를 말한다. 연산자에는 크게 대입 연산자, 산술 연산자, 비교 연산자, 논리 연산자가 있다. 대입 연산자 산술 연산자 산술 연산자는 수학적인 계산에 사용되는 연산자다. 산술 연산자는 다음과 같다. 산술 연산자 설명 + 더하기 연산 - 빼기 연산 * 곱하기 연산 / 나누기 연산 % 나머지 연산 비교 연산자 비교 연산자는 두 피연산자를 비교하여 true(참) 또는 false(거짓)을 반환한다. 특히, 문자열을 비교할 때에는 '=='대신에 '.equals()'라는 메소드를 사용한다. '.equals'는 비교하고자 하는 두 피연산자의 값 자체를 비교한다. '==' 는 비교하고자 하는 두 피연산자의 주소값을 비교한다. 다음을 예로 비교해보자. String s1 = ..

변수에는 크게 기본형과 참조형이 있다. 기본형 기본형 변수는 실제 값(data)를 저장한다. 다음 표가 데이터의 가장 기본이 되는 타입인 기본형이다. - 기본형은 크게 논리, 문자, 정수, 실수형으로 분리할 수 있다. - 논리형 : boolean - 문자형 : char - 정수형 : byte, short, int, long - 실수형 : float, double 대체적으로 정수형은 int, 실수형은 double를 사용한다. (정말 큰 데이터를 사용할 때를 제외하고는 !!) 참조형 참조형은 기본형을 제외한 나머지 타입을 뜻한다. 참조형 변수는 어떤 값이 저장되어 있는 주소(memory address)를 값으로 갖는다. 타입에 관계없이 변수의 크기가 항상 4byte이다. new를 사용해서 객체를 만드는 모든..
변수란? 변수는 단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이다. 즉, 변수는 데이터를 담는 박스라고 생각하면 된다. 변수의 선언과 할당 - 선언 방법 : 변수타입 변수이름; boolean a; //논리형 char b; //문자형 byte c; //정수형 short d; int e; //정수형에서는 주로 이 변수를 많이 사용! long f; float g; //실수형 double h; //실수형에서는 주로 이 변수를 많이 사용! 여기서 변수 타입은 기본형, 참조형이 있는데 여기에서 확인하자. 변수에 값을 저장하는 방법 x = 5; // 변수 x에 5를 저장 수학에서는 '='가 같음을 의미하지만, Java에서는 오른쪽의 값을 왼쪽에 저장하라는 의미 ! 여기서 다시 한 번 x = 3; 을 하게 되면 x는 3..